제가 인터넷 공간에 쓴 대부분의 글은 이곳과 짝을 이루는 블로그 사이트인 blog.GenoGlobe.com에 있습니다. 본 위키 사이트는 극히 드물게 글을 올린다고 해서 놀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^^
용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. 또 찾아보니 엑셀을 이용하여 통계를 익히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있다.
안 쓰는 휴대폰에 3.5mm-RCA Y-케이블을 꽂아서 KBS 콩과 유튜브 음악을 주로 듣는다. 3.5mm 커넥터에 대한 가장 큰 불만은 접촉이 영 좋지 않다는 것. KBS Kong 앱으로는 다른 방송국의 프로그램을 들을 수도 없다. 자연스럽게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음악 재생장치의 자작에 관심이 간다. 인터넷에는 정보가 너무 많은 것이 문제. 표준이 될 만한 지침 문서를 하나 정해 놓고 이를 집중적으로 읽어가면서 준비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. 다음의 정보는 엘레파츠에서 찾은 것으로 2019년 4월에 작성된 것이다.
그런데 라즈베리파이 3B+ HiFiBerry DAC+ Light 정도만 주문해도 제법 비용이 나간다. 에구구…
wiki.genoglobe.com의 SSL 인증서가 어제 날짜로 만료되었다. 90일짜리 무료 인증서를 이번에도 재발급받으려고 시도했는데 어디가 꼬였는지 잘 되지 않는다. 결국 호스팅어 서비스에서 유료로 평생 인증서를 제공하는 것을 택하였다. 호스팅어에서 기본 제공하는 SSL 인증서는 서브도메인에는 듣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다. 이번에 한번만 더 직접 설치하면서 감을 익혀보려 했는데 이렇게 쉽게 돈의 편리함게 굴복하고 말다니…
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으면 은근히 어렵다…
Linux/UNIX: Bash Read a File Line By Line
StackOverflow: Looping through the content of a file in Bash